Protocol Layering 프로토콜은 송신자와 수신자 또는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게하는 규칙이다. 통신이 간단하면 하나의 프로토콜이 필요하지만, 통신이 복잡하다면 각 층마다 프로토콜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프로토콜 계층화(Protocol Layer)라고한다. 프로토콜 계층화를 사용하면 복잡한 작업들을 작고 간단한 작업들로 나누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계층화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암호화/복호화 방식을 바꿔야한다면 전체를 바꿔야할 것이다. 하지만 암호화/복호화 만을 담당하는 계층을 만든다면 다른 계층들은 신경쓸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 모듈화(Modularity) 라고한다. Advantage of Protocol Layering 서비스와 구현을 분리시켜준다. 계층은 하위 계층..
목차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s) 통신 매체의 형태를 통하여 두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효율성 - Delivery : 시스템은 올바른 목적지에 전달되어야 한다. - Accuracy : 시스템은 정확하게 전달되어야한다. - Timeliness : 시스템은 알맞은 때에 데이터를 전달해야 한다. - Jitter : 패킷 도착시간에서의 변수를 나타난다. ex) 비디오 패킷이 매번 30ms 마다 전송된다 했을때 몇몇 패킷은 고르지 않은 품질을 가지고 40ms 딜레이를 갖고 전송된다 네트워크 (Network)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집합의 상호연결이다. 디바이스는 컴퓨터,데스크탑,휴대폰 또는 데이터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라우터, 스위치, 모뎀 같..